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비타민C 평균필요량 이상 섭취하면 '만성폐쇄성폐질환' 발생 위험 0.9배 낮아진다. '치주염' 예방효과까지...
    기타 유용한 Tip 2021. 8. 28. 16:55
    728x90
    반응형

    비타민 C 섭취가 많을수록
    만성폐쇄성폐질환(COPD)발생 위험이 낮아진다고 한다.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이란 만성기관지염이나 폐기종 등에 의하여 호흡된 공기의 흐름에 만성적인 폐쇄를 가져오는 폐질환이다.

    국내 40세 이상 성인의 COPD 유병률은 약 16%인데 남성 환자 비율이 여성환자보다 3배 가까이 높다고 한다.

    25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의하면

    성균관대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유준현 교수팀( 2007∼2015년)이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40∼79세 성인 남녀 1만9,893명을 대상으로 폐 기능 검사 결과에 따라 COPD 그룹과 비COPD 그룹으로 나눠 각종 영양소와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한다.

    이 연구 결과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전체 연구 대상자 1만9,893명 중 3,145명(15.8%)이 COPD 환자로 진단됐다.

    COPD 환자의 평균 나이는 64.2세였다.
    전체 환자의 73.1%가 남성, 26.9%가 여성으로, 남성 비율이 여성비율의 거의 3배였다.

    COPD 환자의 단백질·지방·비타민 A·비타민 C·비타민 B1·비타민 B2·칼슘·나트륨·칼륨 섭취량은 COPD가 없는 환자보다 적었다.

    COPD의 증상이 심할수록 비타민 C·비타민 B1·비타민 B2·칼륨의 섭취량이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COPD가 없는 사람의 56.1%는 비타민 C를 하루 평균 필요량인 75㎎ 이상 섭취하지만, COPD 환자는 47.9%만 비타민 C를 EAR 이상 섭취했다.

    흔히 해당 영양소를 EAR 미만 섭취하면 섭취 부족으로 간주한다.

    비타민 C를 EAR 이상 섭취하면 EAR 미만 섭취할 때보다 COPD 발생 위험이 0.9배로 낮아진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결론이다.

    유 교수팀은 논문에서 “비타민 C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 알레르기 반응, 결합 조직 유지, 종양 억제 등 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비타민 C 섭취가 COPD 환자에게 긍정적인 영향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많다”고 지적했다.

    COPD는 유해 입자나 가스의 흡입 탓에 생기는 폐의 비정상적인 염증이다.

    COPD 환자는 기도 저항의 증가로 인해 건강한 사람보다 숨을 쉴 때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COPD 환자는 영양섭취 감소, 전신적 염증반응 등 때문에 체중이 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비타민 C는 거의 모든 과일과 채소에 들어있는 비타민의 중의 하나다.

    우리 몸은 비타민 C 합성 효소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는 필수 비타민의 한 종류다.

    비타민C는 물에 녹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체내에 저장되지 않고 소변으로 배설되기 때문에 매일 필요한 만큼 섭취해야 한다.

    일반적인 권장량은 하루 100mg이지만,하루 75mg이면 한국인의 '평균필요량'(EAR)을 충족하는 것으로 본다.

    한편, 비타민C의 하루 섭취량이 75mg에 미달하는 사람들은 그 이상인 사람들보다 치주염 위험도가 1.2배 높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출처 한국경제 연합뉴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