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질환 예방및 눈을 맑게 해주는 '냉이'약용식물 2021. 4. 10. 12:35728x90반응형
냉이
레이디경향 특유의 향긋한 향이 나는 봄의 대표적인 식재료로 알려진 냉이는 봄나물이다.
냉이는 전년도 가을에 싹을 틔웠다가 그 상태로 겨울을 나서 이른 봄에 가장 먼저 푸른색 잎을 드러내기 때문에
그 이름조차 푸르다는 뜻으로 ‘나이’인 것이다. 이 외에도 냉이를 부르는 이름은 수십 가지다
논,밭둑이나 들에서 야생으로 자라는 냉이를
채취할 수 있고 요즘은 밭이나 하우스에서 재배
하기도 한다.
긴 겨울을 지난 봄철에 부족하기 쉬운 영양분을 공급해 몸에 큰 도움이 되는 식재료다.
냉이는 잎, 줄기, 뿌리까지 모두 먹을 수 있는 식물이다.
봄에 캐서 무침, 국, 전 등을 만들어 먹으면 향긋한 향이 매력적인 식재료이다.
냉이의 원산지는유럽인데 유럽에서는 어린 냉이
잎은 샐러드로 해서 먹거나 음식의 향을 돋우는
허브로도 활용하지만 주로 약용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냉이는 알칼리성 채소로 입맛을 돋워주고, 늦겨울이나 이른 봄부터 먹기 시작하는데 겨울이 추울수록 뿌리에서 나는 향이 더 짙어진다한다.
시설 재배로 인해 사시사철 냉이를 먹을 수 있게
되었지만, 그래도 이른 봄 야생에서 나오는 냉이가
향이 제일 좋다.
냉이 연 생산량의 70%이상이 3월경에 출하 된다.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단백질 함량이 높아 기력회복에 도움이 된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냉이로 국을 끓여 먹으면 피를 간에 운반해 주고, 눈을 맑게 해 준다'고 기록되어 있을 만큼 산후출혈, 지혈 등에 약재로도 사용된다.냉이의 영양 및 효능
1)비타민 A, B1, C가 풍부해 원기를 돋우고, 피로 회복 및 춘곤증에 좋다.
2)칼슘, 칼륨, 인, 철 등 무기질 성분도 다양한데, 지혈과 산후출혈 등에 처방하는 약재로 사용된다.
3) 간과 눈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잎에는 베타카로틴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뿌리에는 알싸한 향의 콜린 성분이 들어있어서 간경화, 간염 등 간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준다.
5)거칠어진 피부 개선과 여드름 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6)생리불순을 비롯한 각종 부인병 완화에 효과가 있다.네이버지식백과 냉이 고르는 법
1)잎과 줄기가 작고 부드러운 어린 것이 맛있다.
2) 냉이 특유의 향을 내는 뿌리는 너무 단단하지 않고, 잔털이 적은 것을 골라야 한다.
3)신선한 냉이는 뿌리가 곧고 희며 잘랐을 때 단면에 수분감이 느껴진다.
4) 잎은 선명하고 진한 녹색이며 시든 것이 없고, 모양이 바른 것이 좋다.
5)냉이 특유의 독특한 향이 진하게 나는 것을 고르도록 한다.
6)되도록이면 노지에서 자생한 것이 향이 좋고
맛도 있으므로 노지냉이를 고른다.냉이 손질법
1)흐르는 물에 잘 씻어 흙을 제거한 뒤 냉이의 잔뿌리를 칼로 살살 긁어낸다.
2)뿌리와 잎을 통째로 사용하므로 뿌리와 잎 사이의 거뭇한 부분을 특히 신경 써서 긁어낸다.
3) 시든 잎을 떼어내고 30분 정도 물에 담가둔다.
4) 물에 젖은 흙이 가라앉으면 물을 버려내고, 흐르는 물에 헹궈서 마무리하면 된다.냉이 보관방법
1)냉이는 구입 즉시 요리해 먹는 것이 가장 좋다.(손질해서 보관해도 며칠이 지나면 잎이 상하거나 물러질 수 있고, 향이 날아가기 때문이다. )
2)냉장고에 보관할 때는 흙이 묻은 상태에서 키친타월로 잘 싸서 비닐 팩에 담아 냉장 보관한다.
3)향과 영양은 다소 감소하지만, 데친 것을 썰어
냉동 보관해 두었다가 찌개에 넣어도 향미를 느낄 수 있다.냉이 활용방법
⊙냉이밥
⊙생냉이 바지락국, 냉이 백합탕면, 냉이 버섯떡국, 냉이뭇국, 생된장찌개 등
⊙된장무침, 초고추장 냉이생채, 참나물 냉이샐러드, 냉이겉절이
⊙냉이 계란볶음, 냉이청국장볶음
⊙냉이두부선, 냉이장떡, 생냉이 조갯살튀김, 냉이쌀가루튀김
⊙삼치 냉이조림, 콩가루 냉이찜, 냉이 조개찜
⊙생냉이김치, 생냉이장아찌주의사항(한의사·임성용한의원 대표원장)
▶아주 살짝 데쳐 먹자
비타민을 그대로 섭취하기 위해서는 익히지 않는 게 좋지만 냉이를 날것으로 먹기에는 향과 쓴맛이 강하다.
조리 시 30초 이내로 살짝 데치는 것이 좋다.
된장국 등에 넣을 때는 거의 완료된 후 불끄기 3분 전에 넣는다.(요리를 냉이향을 살릴 수 있어 좋다.)
▶냉이 채취 장소를 확인하자
냉이는 산과 들 어디에나 구할 수 있는 식재료
이므로 중금속이 오염된 냉이는 안전하지 않다.
채취환경(도로주변×)을 확인하여 섭취하자.
▶섭취를 피해야 할 사람
냉이는 칼슘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결석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피해야 한다.
차가운 성질이 있어 몸이 차가운 사람도 많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출처 문화뉴스 레이디경향728x90반응형'약용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역력과 염증치료 개선에 도움되는 식재료 '가죽나물' (0) 2021.04.18 산채의 제왕 '두릅' 효능 알고먹자 (0) 2021.04.11 입맛 돋우는 '달래' 효능 (0) 2021.04.08 부인과 질환에 뛰어난 ' 쑥' 효능 (0) 2021.04.07 '민들레'의 효능및 먹는법 (0) 2021.04.06